사무자동화 추진시 선결 과제
- 사무 환경의 정비
- 사무관리 제도의 개혁
- 조직 및 체제의 재정비
- 실시안의 결정
- 도입교육실시
- 전사적 캠페인의 실시
사무자동화의 추진 단계
- 환경분석
- 내부환경분석
- 사무구성원, 사무기기, 사무구조 분석
- 외부환경분석
- 사무기기 생산업자, 공공정보 서비스 현황, 통신에 관한사항,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현황, 조직체계 등
- 내부환경분석
- 요구분석
- 업무 담당자의 사무 자동화 요구를 분석
- 분석사항
- 인전요소
- 처리요소
- 관리요소
- 환경요소
- 목표 설정
- 계획수립
- 계획 추진
- 운용 및 결과 분석
- 평가
- 사전평가
- 경제성 평가
- 중간평가
- 성능에 대한 분석
- 사후평가
- 시스템 가치 평가, 기술적 평가, 운영에 대한 평가, 경제성 평가
- 평가방법
- 투자효율산정법, 상대적 평가법, 정성적 평가법
- 사전평가
- 오차수정 및 피드백
- 최적시스템 구축 및 유지
경영정보시스템(MIS)
- 기업 내.외부의 비즈니스, 데이터를 수집해서 가공하고 기업을 관리하는 모든 계층 사람들의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
- 경영을 위한 정보를 공급하기 위하여 형식화된 컴퓨터 정보 시스템
- 기업의 전략, 계획, 조정, 관리, 운영 등의 결정을 보조해준다.
- 분석과 진단에 의해 기업 업무의 정보 요구가 정의되어야 하고, 정의돈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리한다.
- MIS의 전문성은 기업의 업무를 분석하고 기업경영을 진단하는 능력이다.
- 경영정보 시스템이 초기에 실패한 이유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제한된 능력과 사용자의 이해 부족 때문이다.
- 기본 구성은 의사결정 시스템(MIS의 지휘기능, MIS의 본부 역할), 프로세스 서브 시스템(자료 저장 검색 기능), 데이터베이스 서브 시스템(데이터 집합 기능), 시스템 설계 서브시스템(MIS의 유지, 개발, 통합 등의 기능), 통신 서브 시스템
- 기능별 분류 : 회계정보시스템, 생산정보시스템, 마케팅정보시스템, 인사정보시스템
- 중역 정보 시스템이 가장 상위에 위치
의사결정 지원 시스템(OSS)
-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보기 쉬운 형태로 편집, 출력하는 시스템, 환경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
사무자동화 경영관리
- RTE(Real-Time Enterprise, 실시간 기업)
- 지속적인 프로세스의 개선과 실시간 정보제공을 통해 경쟁력을 극대화
- 정보기술 솔루션을 경영에 활용하여 현재 기업의 경영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다.
- ERP(Enterprise Resource Planning, 전사적 자원관리)
- 기업 전 부문에 걸쳐 있는 모든 경영 자원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, 계획, 관리함으로써 기업 생산성을 높이는 종합경영 관리 시스템
- CRM(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, 고객 관계 관리)
-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고객중심의 경영 방법
- SCM(Supply Chain Management, 공급망 관리)
- 제품이나 부품의 생산자로부터 사용자에 이르는 공급 체인을 효율화
- 6시그마
- 품질경영기법
- POS(Point Of Sales) 시스템
- 바코드를 판독하는 순간 재고, 매출액 등 상품 판매에 관한 모든 자료가 자동으로 표시됨
판매시점관리 시스템
이라고도 한다.
사무자동화 기술
- 사무자동화 기술은 정보의 획득, 처리, 전달, 보관에 관련된 기술로 사무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
- 사무자동화의 3대 기술로는 하드웨어 기술, 소프트웨어 기술, 통신(네트워크)이 있다.
Man-Machine 인터페이스
- 인간이 기계를 조작할 때 협력하여 목적을 달성
- 입력기술과 출력기술(입력 및 표시장치)
-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.
하드웨어 기술-{입력기술}
- 키보드
- 마우스
- 트랙볼
- 스캐너
- 디지타이저/태블릿
- 디지털카메라
- 광학 마크 판독기(OMR)
- 자기 잉크 판독기(MICR)
- 광학 문자 판독기(OCR)
- 바코드 판독기(BCR)
하드웨어 기술-{출력기술}
- 모니터
- CRT, LCD, PDP
- 해상도 : XGA 〉VGA 〉EGA 〉CGA
- 프린터
- 충격식 프린터(도트 매트릭스 프린터, 라인프린터, 시리얼프린터)
- 비충격식 프린터
- 플로터
- 스풀링
- 중앙처리장치와 각각의 입.출력장치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.
- 출력할 자료를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해 두었다가 프린터가 출력 가능한 시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
- DPI
: 1인치에 출력되는 점(Dot)의 수
채널
- CPU를 대신하여 주기억자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에서 입출력을 제어
- 중앙처리장치(CPU)속도와 입출력장치 속도의 차를 해결
- 전체 시스템의 처리속도를 향상 시킨다.
- 고속의 입.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셀렉터, 저속의 입.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멀티플렉서
- 멀티플렉서
: 여러 개의 터미널 신호를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
주기업장치
- ROM : 쓰기는 불가능, 비휘발성 메모리
- 종류
- Mask ROM : 지울 수 없음
- PROM : 지울 수 없음
- EPROM : 자외선을 이용하여 기록
- EEPROM :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
- 종류
- RAM : 읽고 쓸 수 있는 기억장치, 휘발성 메모리
- 종류
- DRAM : 재충전이 필요, 용량이 큼
- SRAM : 캐시 메모리로 사용됨
- 종류
- 기억장치가 입.출력장치에 비해 동작속도가 빠름
기타 메모리
캐시 메모리 : CPU와 기억장치 사이에서 처리속도를 향상시킴
가상 메모리 : 보조기억장치(하드디스크)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
※ 페이징 기법프로그램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 단위를 페이지.
※ 세그먼테이션 기법
프로그램을 가변적인 크기로 나눈 단위를 세그먼트.
버퍼 메모리 : 속도차이를 해결, 중간에 임시로 저장해두는 공간
연관 메모리 :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
플래시 메모리 : EEPROM의 일종
보조기억장치-{자기(Magnetic)매체}
- 자기디스크
- SSD
-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
- 기존의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음.
- 자기테이프
- 순차처리만 가능
- 블록화 인수
-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논리 레코드의 수
`블록화 인수 = 블록의 크기/레코드의 크기
-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논리 레코드의 수
보조기억장치-{광(Optical) 매체}
- 광학 헤드가 빛을 비추어 구멍 패턴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
- 광 디스크 시스템
- 자료의 검색, 보존에 사용
- CD-RAM
- 하이시에라 표준
- DVD
- CD-ROM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 불가능
- 블루레이 Blu-ray
- 고선명(HD) 비디오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.
- 디스크 한면에 2층의 데이터 기록면을 갖춤
- DVD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불가능
- WORM
- 안전이나 범적인 이유로 한 번 기록된 후에는 변경 불가능
- 은행이나 중개소의 거래내역등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
- 등선속도(CLV)
- 안쪽 트랙은 느리게
- 바깥쪽 트랙은 빠르게
- 트랙저장밀도는 같음
- 저장 용량 손실 없음
- 저장 공간 낭비 없음
- 회전 구동 장치 복잡
자기 디스크 관련용어
- 트랙 : 동심원
- 섹터 : 나눈구간
- 실린더 : 논리적 구성요소, 한 면의 트랙의 수와 실린더의 수는 동일함
- 클러스터 : 섹터를 모은 것
- TPI : 1인치에 기록할 수 있는 트랙의 수
- Seek Time : 트랙(실린더)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
- Search Time : 트랙(실린더)를 찾은 후 원판이 회전하여 원하는 섹터의 읽기/쓰기가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
- Transmission : 읽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
- Access Time
-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의 합.
- 어떤 데이터를 기억장치로부터 읽거나 기억시킬 때 명령이 시작된 순간부터 완료되는 순간까지 소요시간
-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읽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
플로피디스크의 용량 : 트랙수*섹트수*섹터당 기억용량*면수
기억장치 관련단위
처리속도 단위
기억장치 접근 속도
CPU(레지스터) → 주기억장치(캐시(SRAM)) → DRAM → ROM → SSD → 보조기억장치
소프트웨어 기술
- 시스템 소프트웨어
- 운영체제 :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해주는 시스템
- 제어 프로그램
- 감시프로그램, 작업관리 프로그램,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
- 처리 프로그램
- 언어 번역 프로그램 : 기계어 형태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시켜줌
- 서비스 프로그램 : 정렬/병합 프로그램
- 유틸리티
- 응용 소프트웨어
- 소프레드시트
- 수식, 함수, 차트를 이용해 계산
- 소프레드시트
- 소프트웨어 패키지
- 1개의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 그룹
- MS사의 오피스 프로그램
- OLE
- 문자나 그림 등의 개체를 원본 프로그램에서 수정하거나 편집하면 그 내용이 그대로 해당 문서에 반영됨
통신 응용 기술 - {정보처리 시스템}
- 정보처리 시스템은 입력된 자료를 처리과정을 통해 정보로 변환하는 시스템
- 비집중 처리 시스템 → 집중 처리 시스템 → 분산처리 시스템
- 비집중 처리 시스템
- 공유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
- 집중 처리 시스템
- 양이 많아지면 과부하(저생산성)
- 전사적 관리가 용이하고 회선 비용이 적게 들며, 전체적인 운영 요원이 감소함
- 대규모 처리
- 정보처리의 과도한 집중하로 인해 시스템 운용상의 문제점, 시스템 상의 불편함, 사용자 적용업무의 개발 상의 문제점
- 분산 처리 시스템
- 통신 회선으로 연결(통신비용증가)
- 공유, 유연성, 확장성, 호환성
- 연산속도, 신뢰도 향상
- 조직전체의 융통성, 현장 적응성
- 시스템 설계가 복잡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어렵고, 보안문제가 있음
- 분산처리 형태에는 계층형 분산 처리 시스템, 수평형 분산처리 시스템, 혼합형 분산처리 시스템이 있음
인텔리전트 빌딩
- 최첨단 빌딩, IBS
-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음
- 사무생산성의 향상, 사무작업의 노동생활 향상
사무자동화기기
- 근거리 통신망(LAN)의 발달은 사무자동화기기의 통합을 촉진시켰다.
- 사무실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위해 기기의 소형화
자료준비기기/자료처리기기
- 워드프로세서 : 문서의 생성, 편집, 저장, 인쇄
중앙처리장치(CPU)
- 제어장치, 연산장치, 주기억장치(레지스터)로 구성
- 제어장치
- 프로그램 카운터(명령어의 번지를 기억)
- 명령 레지스터(명령의 내용을 기억)
- 명령 해독기
- 부호기(제어신호를 생성)
-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(MAR)
-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(MBR)
- 연산장치
- 가산기(덧셈)
- 보수기(뺄셈을 위해 보수로 변환)
- 누산기(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)
- 데이터레지스터
- 상태 레지스터(PSW-현재 프로그램 상태 저장)
자료전송기기-{전자우편}
- SMTP
- 메일을 전송(송신)
- 기본 포트 25
- POP
- 메일을 컴퓨터로 가져올 수 있게 함
- IMAP
- 멀리 떨어져 있는 서버의 이메일 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
- MIME
- 멀티미디어 파일을 확인하고 실행
- S/MIME
- 암호학적 보안서비스를 제공
- PEM
- 밀봉된 봉투에 넣어 데이터의 유출이 발생해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함
- 빠른 의사교환이 가능
- 동시에 여러 사람에게 동일한 전자우편을 보낼 수 있는 기능 제공
- 이용시간 및 장소의 제약없이 저렴한 비용
- 개인적인 정보보호 조치가 필요
- PGP
- 전자우편을 다른 사람이 받아볼 수 없도록 암호화하고 받은 전자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프로그램
- 기밀성, 무결성, 인증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사무자동화산업기사]1과목 정리(1) (0) | 2020.08.04 |
---|---|
엑셀] 정렬 안 되어 있는 병합된 셀 한번에 처리 방법 (0) | 2020.07.15 |
엑셀] 데이터 입력 (0) | 2020.07.15 |